전체 글 312

▶테이핑요법이란? :: 테이핑요법 - 키네시오 테이핑

▶테이핑요법이란? :: 테이핑요법 - 키네시오 테이핑요즘 주위를 살펴보면, 많은 분들이 발목 테이핑, 무릎테이핑, 어깨 테이핑 등 다양한 방법으로 테이핑을 활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테이핑요법의 원리와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이핑요법이란? 접착성이 있는 테이프 또는 붕대를 신체 각부의 크기나 형상에 맞춰 감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통해 관절이나 근육을 보강/지지하여 결과적으로 부상의 예방, 재발 방지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경기 또는 운동 중에 발생되는 운동상해를 최소화한 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스포츠 선수들이 활용하고 있는 요법입니다. 테이핑의 역할 및 효과 테이핑의 역할 테이핑의 기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테이핑은 인체의 관절과 근육..

아카이브/문화 2014.10.11

▶영화비평 이해하기 :: ③ 미장센과 리얼리즘 :: 미장센의 정의와 사례, 리얼리즘

영화비평 이해하기 :: ③ 미장센과 리얼리즘 문화생활의 하나로서 '영화관람'이 자리잡은 뒤로, 영화에 대해 조금 더 이해하고자 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미장센(mise en scene)'입니다. 샴푸브랜드를 이야기하려는 것은 당연히 아닙니다^^; 자주 접하게 되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는 알지 못했던 이 '미장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장센이란? 미장센의 사전적 정의 미장센(mise en scene)은 본래 연극무대에서 쓰이던 프랑스어로, '연출'을 의미한다. 영어로 표기하면 'Putting on Stage'로 직역하면 '무대에 배치한다'라는 뜻이다. 연극을 공연할 때 희곡에는 등장인물의 동작이나 무대장치, 조명 등에 관한 지시를 세부적으로 명시하지 않으므로, 연출자가 연극의..

아카이브/문화 2014.10.10

▶문화노트 :: 팬덤과 팬픽이란?

▶문화노트 :: 팬덤과 팬픽이란? - 팬(fan)의 개념 대중은 미디어를 통해 스타를 접하게 되는데, 특정한 스타 또는 콘텐츠에 호감을 갖게 될 경우, 단순 수용자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 수용자'가 된다. 이를 가리켜 '팬'이라고 한다. 이러한 팬 중 일부는 개별적인 팬으로 만족하지 않고, 하나의 모임을 갖고 참여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이러한 모임 또는 커뮤니티가 바로 '팬 클럽'이다. 팬의 어원은 fanatic이다. fanatic이란 종교적 신념 또는 숭배가 과도한 광신도를 뜻한다. - 팬(fan)의 특징 5가지: 적극적, 비판적, 생산자의 역할, 조직적 활동, 대안적 사회공동체 형성 팬덤(fandom)이란?국내 팬덤문화의 시작은 1980년대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팬덤'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

아카이브/문화 2014.10.07

▶지식노트 :: 변증법, 제논부터 칸트, 그리고 헤겔의 변증법까지

▶지식노트 :: 변증법, 제논부터 칸트, 그리고 헤겔의 변증법까지 변증법의 유래변증법이라는 말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본래의 뜻은 '대화술·문답법'이라는 뜻입니다. - 변증법의 창시자 제논 엘레학파의 제논은 '상대방의 입장에 어떤 자기모순이 있는가'를 논증함으로써 자기입장의 올바름을 입증하려고 했습니다. 이러한 문답법은 소크라테스에 의해 훌륭하게 전개되었으며 플라톤이 이어받으면서 마침내 변증법은 '진리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중시되게 됩니다. - 칸트, 변증법이라는 말에 무게를 더하다. 근세에 이르러 칸트는 변증법의 중요성에 무게를 더합니다. 칸트가 말한 변증법 : 우리의 이성이 빠지기 쉬운, 일견 옳은 듯 하지만 실은 잘못된 추론,즉 '선험적 가상'의 잘못을 폭로하고 비판하는 '가상의 논리..

아카이브/문화 2014.10.05

▶영화비평 이해하기 :: ② 네러티브, 등장인물, 시점 - 영화가 다른 예술 분야와 공유하는 세가지 용어를 중심으로

▶영화비평 이해하기 :: ② 네러티브, 등장인물, 시점 - 영화가 다른 예술 분야와 공유하는 세가지 용어를 중심으로 1)내러티브 내러티브는 '스토리'와 '플롯'.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스토리 [story] : 전달되는 모든 사건, 또는 무엇이 일어났는지 추론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플롯 [plot] : 그 사건들을 특정한 구조로 체계화 하는 배열 또는 구성을 의미한다. - 티모시 케이건, 『영화 비평, 어떻게 할까?』 예를 들어 나폴레옹의 일대기를 다룬 모든 영화에서 그의 출생, 권력에 대한 야망, 프랑스 혁명과 그 여파 등에 이루는 스토리는 동일합니다. 그러나 동일한 스토리라도 플롯은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 어떤 영화는 나폴레옹의 유배시절부터 시작해서 과거에 일..

아카이브/문화 2014.10.03

▶영화비평의 원리 :: ① 비평을 시작하기 위한 작은 습관

▶영화 비평의 원리 :: ① 비평을 시작하기 위한 작은 습관영화에 대한 비평이란, 대개 '논문'보다는 유연하고, 리뷰보다는 수준있는 정도의 글입니다. 티모시 코리건은 저서 영화비평, 어떻게 쓸까?에서 영화에 대한 비평을 몇가지 특징으로 설명합니다. 영화 비평의 특징 대상 : 영화를 보거나 토의하는 데 익숙한 사람들.내용 : 독자에게 주제와 플롯의 요소를 상기시키지만, 영화 줄거리를 반복해서 전달할 필요는 없음. 리뷰와의 차이점 : 비평은 한 두번 봐서는 놓치기 쉬운 복잡미묘한 부분을 전달하는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내용면에서 리뷰보다 훨씬 구체적. 티모시코리건, 『영화 비평, 어떻게 쓸까? 』 영화 비평시작하기 - 메모하는 습관 문학작품과 달리 영화는 이미지들이 계속해서 움직인다는 매체의 특성때문에, 분..

아카이브/문화 2014.10.03

▶문화노트 :: 제3섹터의 개념과 사례

▶문화노트 :: 제3섹터의 개념과 사례 제3섹터의 개념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공동으로 출자한 민관합동법인. 제3섹터란 일반적으로 공공부문(제1섹터)과 민간부문(제2섹터)이 공동으로 출자하고 있는 사업체를 의미하며, 이러한 형태의 사업주체가 시행하는 사업방식을 지칭하기도 한다. 간단히 말하면 공사합동출자의 민법법인(출자법인), 상법법인(출연법인)을 제3섹터라고 할 수 있다. 제3섹터는 일본에서 가장 발달한 제도로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민간부문의 우수한 정보, 기술과 풍부한 자본을 도입해 공동출자형식을 통해 사회간접자본(SOC)을 개발하는 것으로 지역개발이나 도시조성사업에 많이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제3섹터 도입시기우리나라에서 제3섹터개념이 도입된 시기와 관련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먼저 '제..

아카이브/문화 2014.09.28

▶문화노트 ::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감정자본주의

▶문화노트 ::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감정자본주의오늘 살펴볼 내용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ion Network Theory]입니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개념인간과 비(非)인간 사이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주목합니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행위자'라는 개념에는 인간 뿐만 아니라, 비(非)인간 역시 포함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표본, 그래프, 설계 등과 같은 비 인간물질의 중요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처럼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비 인간존재에 대해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합니다. 다시말해, 사람들 간에는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지만, 비인간과 어떤 동매을 맺는가와 관련해서 믄허의 아르다운 계절.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이종간의 경계넘기를 꾀한다.행위자네트워크는 남성/여성, 주관성/객..

아카이브/문화 2014.09.27

▶문화노트 :: 공공 공간과 여론에 대하여 - 저널리즘의 위기, 미디어의 정치 병행성

▶문화노트 :: 공공 공간과 여론에 대하여 - 저널리즘의 위기, 미디어의 정치 병행성우리나라의 스마트폰과 인터넷 보급률은 세계 최고수준입니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이 마련된 덕분에, '인터넷'이 이제껏 없었던 새로운 '공공 공간'으로서 자리매김합니다. 이폰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공공 공간, 그리고 그 속에서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합니다. 공공 공간과 여론관련하여 가장먼저 살펴볼 내용은 저널리즘의 위기와 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①공공 공간과 여론에 대하여 - 저널리즘의 위기, 미디어의 정치 병행성 커피하우스와 살롱커피하우스는 단순히 커피를 마시고 담소를 나누는 공간에 그치지 않고 문화와 예술, 나아가 경제와 정치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에 대해 생각을 나누는 공간으로 자리..

아카이브/문화 201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