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문화

▶Culture :: TransMedia and Convergence Culture

비주얼라이즈 2014. 11. 23. 07:32




▶Culture :: TransMedia and Convergence Culture



현대사회에서 이루어지고있는 트랜스미디어의 다양한 콘텐츠들은 기존 매체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들은 작게는 콘텐츠 형태에, 크게는 그것을 구성하는 핵심콘텐츠, 나아가 비즈니스모델의 형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까지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랜스미디어의 다양한 특징과 영향력은 컨버전스시대라고 할 수 있는 현 시대적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우리가 '트랜스미디어와 컨버전스컬쳐'라는 주제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했습니다.



트랜스미디어의 개념적 정의


우리는 무엇을 트랜스미디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사실 학자마다 개념과 범위가 조금 씩 다르다보니, '트랜스미디어는무엇이다.'라고 딱잘라 말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한다면 어느정도 개념에 대해서 가늠해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트랜스미디어란 미디어 간의 경계선을 넘어 서로 결합/융합되는 현상.[각주:1]




트랜스미디어 이용자의 특성


만약 우리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기획한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것은 아무래도 '이용자'일 것입니다. 이호영(2009)은 트랜스미디어 이용자의 특성을 세 가지로 정리했습니다. 









첫째, 트랜스미디어 이용자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활동한다. 


이들은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는 데 능숙하고 이를주로 자신의관심사를 공유하는 커뮤니티에서 교환한다. 이들이 온라인에서 군집성향을 보이는 이유는 그것이 가장 효율 적인 콘텐츠 및 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협업을 통해서 콘텐츠를 변형하기보다는 단순 공유가 많고, 변형하는 경우라도 개인의 업적으로 남기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콘텐츠 수집 및 소비에 많은 시간을 쏟으며 이러한 실천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구별짓는 경향이 있다.


트랜스미디어 이용자들은 대개 콘텐츠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하지만 커뮤니티 활동을 거치면서 다른 사람들과 의식, 무의식적인 경쟁에 돌입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이는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 정보의 양, 팬으로서의 경력, 갖고 있는 콘텐츠의양과 질 등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곧 이들은 미디이어의 소유, 새로운 미디어의 활용능력에 있어서도 구별짓기를 하거나, 당하게 된다.





셋째, 이들은 미디어나 콘텐츠 그자체에 대한 관심을 넘어 미디어를 통해할 수있는 다른 활동에도 많은 관심이 있다.


이들은 다양한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사용방식을 만들어낸다. 그러기에 트랜스미디어 이용에 있어 후발자들은 선발자들로부터 배워가면서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기존 미디어와 트랜스미디어의 차이







트랜스미디어 이용의 특징은 수용자(소비자)가 다양한 플랫폼과 콘텐츠 사이를 넘나들 수 있다는 것. 


이호영(2009)은 미디어 컨버전스에대해 기술, 사회, 문화라는 다차원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선 흔히 '결정적'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는 기술 진화의문제를 인간과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제공되는 기술적 환경 측면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여기서말하는 기술적 환경이란 인간과 사회를 구조화하기도 하지만 역으로 그것에 대항 구조화되기도 하는 환류 고리의 한 구성요소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미디어 생태학은 체계와 환경사이의 역동적이고 비선형적인 공진화 과정을 다루는 체계론적 사고와 결합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림1] 전기화와 디지털화에 따른 미디어 변형



물질기반의 아날로그 미디어가 기호기반의 디지털 미디어로 대체되기 전에는 세개의 미디어가 분리되는 상황을 보기 어려웠다. 가령 [그림 1]의 유형에 해당되는 인쇄매체와 같은 통합미디어는 세 가지 레이어가 안정된 구조로 강하게 결합하고 있는형태이다. 그러나 4유형에 해당하는 디지털 미디어는 레이어간 분리를 청저하게 진행시켜 떼어내고 섞어서 새로운 물질로 변형(rip, mix, burn)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처럼 트랜스미디어는 '떼어내기(Rip)' - '뒤섞기(Mix)' - '구워만들기(Burn)'를 통해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계마다 기술과 문화가 결합한다. 이러한 트랜스미디어의 기술적인 변형은 컨버전스 컬처의 문화적 변형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컨버전스 컬처는 기술 기반의 문화인 동시에 변형의 문화이다.(이호영,2009)




트랜스미디어의 스토리텔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의 개념을 제시한 사람은 MIT Comparative Media Studies의 헨리젠킨스(Henry Jenkins)입니다. 그는 자신의 책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하나가 아닌 여러개의 미디어 플랫폼(media flatforms)을 통해 '하나'로 이해될 수 있는 이야기를 전달하고 이를 경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특성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가 존재해야하며,  여러 매체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수용자층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나아가 헨리젠킨스(Jenkins, 2006)는 미디어 융합이 단순한 기술적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산업, 문화,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로서, "소비자가 새로운 정보를 찾으며 분산된 미디어 콘텐츠를 연결시키는 문화적 발전과 관련된다"고 말했습니다. 







디지털 컨버전스의 전개방식


헨리젠킨스(Jenkins, 2006)는 자신의 저서 컨버전스컬쳐에서, 컨버전스의 전개방식을 4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했습니다. 


첫째는 기술적 컨버전스(Technical convergence)로서 미디어 콘텐츠가 디지털로 전환되고 통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유통될 수 있다. 둘째는 사회적 똔느 유기적 컨버전스(social convergence)로서 소비자들이 멀티태스킹 능력을 갖추게 됨으로써 새로운 정보환경에서 여러 플랫폼을 넘나들며 자유롭게 정보를 검색, 활용할 수 있게 된느 것을 말한다. 셋째는 문화적 컨버전스(Cultural convergence)로서 미디어 기술, 미디어 산업, 소비자, 생산자 등이 서로 연계되면서 새로운 창의성이 만들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참여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민속 문화(Folk cultur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야기가 여러 플랫폼에 걸쳐 전개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넷짼느 글로벌 컨버전스(Global convergence)로서 음악·영화·텔레비전 프로그램등 미디어 콘텐츠가 국제적으로 유통되면서 문화적 혼종성(hybridity)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각주:2] 


이와 같은 컨버전스가 진척되면서 현대 문화는 한편으로는 다양화와 동질화라는, 다른 한편으로는 상업화와 문화적 민주화라는 모순된 힘들의 작동 속에 위치하게 된다.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는 다양한 차원의 컨버전스 경향들 중에서 젠킨스가 주목하는 것은 우리가 다루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같은 문화적 컨버전스다.[각주:3]






참고문헌


이호영 외 4명, '컨버전스 시대의 트랜스미디어 이용자 연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09).

Jenkins, H. "Convergence Culture : Where Old and New Media Colide.",(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1. [네이버 지식백과] 트랜스 미디어 [trans media]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본문으로]
  2. [네이버 지식백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 2013.02.25., 커뮤니케이션북스) [본문으로]
  3. [네이버 지식백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 2013.02.25., 커뮤니케이션북스) [본문으로]